대기오염
오존 O3
환경부 수도권대기환경청은 미세먼지의 특성을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대기 중에 배출된 질소산화물(NOx)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등이 자외선과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생성된 PAN, 알데히드, Acrolein 등의 광화학 옥시던트의 일종으로 2차 오염물질에 속한다.
전구물질인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자동차, 화학공장, 정유공장 등 산업시설과 자연적 생성 등 다양한 배출원에서 발생한다.
오존에 반복 노출 시에는 가슴의 통증, 기침, 메스꺼움, 목 자극, 소화 불량 등의 증상을 유발시키며, 기관지염, 심장질환, 폐기종 및 천식을 악화시키고, 폐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기관지 천식환자나 호흡기 질환자, 어린이, 노약자 등에게는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농작물과 식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수확량이 감소되기도 하며 잎이 말라 죽기도 한다.
수도권의 경우 오존의 연평균 농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O3는 연도별로 감소하고 있는가?
지수평활법(Exponential Smoothing Method, ESM)을 활용하여 O3의 단기적 추세를 예측하였다. ESM은 평활계수를 활용하여 각 관측값에 대하여 다른 가중값을 부여하여 매 시점에서 예측하는 방법으로 단순하고 직관적이며 중, 단기 시계열 추세 예측에 유용하다(유상록 외, 2013). 이후 회귀직선과 벌점-B-스플라인 그래프(penalized B-spline graph)를 활용하여 미세먼지의 추세를 분석하였다. 별점-B-스플라인 그래프는 평활계수를 활용하여 자료를 적합하며 스플라인 보다 추세를 잘 나타낼 수 있다. 끝으로 연 평균 O3 배출량을 살펴보았다.
O3 배출량을 살펴보면 O3는 일시적으로 감소하거나 증가세가 둔화되기도 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상의 분석 결과를 해석할 때 연도별로 관측소가 동일하지 않다는 점에 주의해야 된다. 즉, 전국 평균 계산 시 새로운 관측소가 추가됨에 따라서 분석결과가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추가적으로 분석기간 동안 연속적으로 존재한 관측소를 대상으로 O3 추세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관측소가 전기간에 걸쳐 있었던 지역의 O3 평균값 추세는?
관측소가 전 기간에 걸쳐 모두 있었던 지역을 대상으로 평균값의 추세를 구한 회귀계수는 0.00000182였으나 전체 관측소를 대상으로 동일한 분석을 수행했을 때의 회귀계수는 0.00000209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관측소를 대상으로 분석하는 경우 O3의 증가분이 더 큰 것을 의미하지만 실질적인 값의 차이는 약 0.00000027인 것으로 나타나 해당 값이 실질적인 의미를 갖는지 추가적으로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관측소가 전 기간에 걸쳐 모두 있었던 지역
전체 관측소 대상
O3가 가장 높은 달은 언제인가?
2010년부터 2022년까지 월 평균 O3를 살펴본 결과 5월이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절별로 살펴보면 봄과 여름 사이 시기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O3가 심각한 3월 ~ 8월 시기의 오염 수준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는가?
상대적으로 O3가 심각한 시기인 3월부터 8월까지의 추세를 살펴보았다. 우측 그래프를 살펴보면 8월 배출량은 2017년을 기점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 4월 배출량은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O3가 심각한 시기(3월-8월)동안 모든 지역에서 배출량 감소 추세가 유지되고 있는가? 오히려 상승 추세를 보이는 지역은 어디인가?
3월부터 8월까지 중 한 달이라도 O3 상승 추세를 보인 지역은 157개 지역으로 나타났다. 이는 많은 지역에서 O3 배출량이 상승했음을 의미한다.